전체 글 (141)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스기술사 | 고압가스법에 제외되는 고압가스는? (모바일) 고법 제 2조에는 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에 대해 나온다. 제2조(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에 따라 법의 적용을 받는 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별표 1에 정하는 고압가스는 제외한다. 1. 상용(常用)의 온도에서 압력(게이지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것 또는 섭씨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아세틸렌가스는 제외한다) 2. 섭씨 1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파스칼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3.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것 또는 압력.. 가스기술사 | 가연성가스와 독성가스의 정의(LEL, UEL, LC50이란?) 고법의 정의에서 가연성가스와 독성가스에 대해 알아보자연소의 3요소에서 산소(공기) + 가연성 분위기(연료, 가연물) + 점화원(열, 발화원)이 3가지가 동시에 존재하여야 연소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고압가스에서 정의하는 가연성 가스는 무엇일까.또한, 독성가스는 법마다 규정하는게 다르다. 우선 고법에서 정의하는 독성가스에 대해 알아보자. 가연성가스 (고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 제1호) 제2조(정의) ①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가연성가스”란 아크릴로니트릴ㆍ아크릴알데히드ㆍ아세트알데히드ㆍ아세틸렌ㆍ암모니아ㆍ수소ㆍ황화수소ㆍ시안화수소ㆍ일산화탄소ㆍ이황화탄소ㆍ메탄ㆍ염화메탄ㆍ브롬화메탄ㆍ에탄ㆍ염화에탄ㆍ염화비닐ㆍ에틸렌ㆍ산화에틸렌ㆍ프로판ㆍ시클로프로판ㆍ프로필렌ㆍ산화프로필렌ㆍ부탄ㆍ부타.. 가스기술사 | 고압가스의 정의, 법에서 정의하는 고압가스란? 고법 제 1조 목적을 보면"이 법은 고압가스의 제조ㆍ저장ㆍ판매ㆍ운반ㆍ사용과 고압가스의 용기ㆍ냉동기ㆍ특정설비 등의 제조와 검사 등에 관한 사항 및 가스안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고압가스 등으로 인한 위해(危害)를 방지하고 공공의 안전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위와 같이 고압가스로 정의된 가스랑 연관되는 부분은 고압가스법의 적용을 받는다고 보면 된다.그렇다면 고압가스의 정의는 어떤지 알아보자. 고압가스의 정의 | 고법 시행령 제2조 제2조(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에 따라 법의 적용을 받는 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별표 1에 정하는 고압가스는 제외한다.1. 상용(常用)의 온도에서 압력(게이지압력을 말한다. .. 이전 1 ··· 43 44 45 46 47 다음